긴급상황 대피요령
소화기 사용 및 출입문 비상열림장치를 사용하여 신속히 대처한다.
긴급상황 이외에는 객실 안 각종 비상장치를 사용하지 않는다.
나레이션 : 부산도시철도로 아침을 여는 사람들.
안전하고 쾌적한 부산도시철도와 함께 기분 좋은 하루가 시작됩니다.
1년 365일, 언제나 행복을 싣고 달리는 부산도시철도.
오늘도 힘차게 출발합니다.
자막 : 안전한 도시철도 행복한 하루
나레이션 : 안전한 부산도시철도 이용을 위해서는 긴급상황 시 대처방법을 미리 익혀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시철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위험상황들과 그에 따른 행동요령을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자막 : 열차 내 화재 발생 시
나레이션 : 열차 내 긴급상황 발생 시에는 비상통화장치를 이용해 기관사에게 알려주시면 신속하게 대응을 할 수가 있습니다.
자막 : 열차 내 화재 발생 시 신고 및 알림 비상통화장치 사용방법
나레이션 : 먼저 비상통화장치는 객실 양쪽 끝에 한 개씩 설치돼 있으며,
사용방법은 비상통화장치의 커버를 열고 마이크를 꺼내든 뒤
푸시(push) 버튼을 계속 누른 상태에서 통화하면 됩니다.
자막 : 열차 내 화재 발생 시 비상통화장치 사용방법
① 비상통화장치의 커버를 열고, 마이크를 꺼낸다.
② 푸쉬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통화
나레이션 : 기관사가 없을 때는 7초 후 자동으로 종합관제소로 연결되며
4호선의 경우, 비상통화장치 버튼을 한 번만 누르시면 관제사와 통화를 할 수 있습니다.
자막 : 기관사가 없을 시 7초 후 자동으로 종합관제소로 연결
4호선은 비상통화장치 버튼을 한 번만 누르면 관제사와 통화
나레이션 : 다음은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기 사용방법입니다.
자막 : 화재 진압 소화기 사용방법
나레이션 : 소화기의 고정밴드 걸쇠를 앞으로 당긴 후, 소화기를 꺼내서 안전핀을 뽑습니다.
자막 : 열차 내 화재 발생 시 소화기 사용방법
① 고정밴드 걸쇠를 앞으로 당겨 소화기를 꺼낸다.
② 안전핀을 뽑는다.
나레이션 : 그리고 호스를 불이 난 곳을 향하게 한 후,
손잡이를 힘껏 움켜쥐고 불길 주위에서부터 비로 쓸듯 약재를 뿌리면 불이 꺼집니다.
자막 : ③ 호스를 불이 난 곳을 향하게 한다.
④ 손잡이를 움켜쥐고 불길 주위에서부터 비로 쓸 듯 화재진압
나레이션 : 소화기를 사용해도 불이 꺼지지 않는다면,
최대한 몸을 굽힌 뒤 손수건이나 옷가지 등으로 코와 입을 막고 불길 반대편으로 재빨리 대피해야 합니다.
자막 : 열차 내 화재 발생 시 대피 대피요령
출입문 수동개방 후 계단으로 대피
승강장 끝쪽 비상출입문을 통해 터널로 대피
나레이션 : 열차 내에는 출입문 비상열림장치가 있습니다.
자막 : 열차 내 화재 발생 시 출입문 개방 수동 개방 방법
나레이션 : 출입문을 수동으로 개방하기 위해서는
1,2호선은 비상열림장치 덮개를 안으로 밀고, 안에 있는 비상콕크 손잡이를 앞으로 당깁니다.
자막 : ① 1, 2호선은 비상열림장치 덮개를 안으로 민다.
② 비상콕크 손잡이를 앞으로 당긴다.
나레이션 : 약 5초 정도 공기가 빠지도록 기다린 후, 손으로 출입문을 양쪽으로 열면 됩니다.
③ 약 5초 정도 공기가 빠지도록 기다린다.
④ 손으로 출입문을 양쪽으로 연다.
나레이션 : 한편 3,4호선은 출입문 오른쪽 벽면에 비상열림장치 덮개를 열고 손잡이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손으로 양쪽 문을 열 수 있습니다.
자막 : ① 3, 4호선은 비상열림장치 덮개를 열고 손잡이를 오른쪽으로 돌린다.
② 손으로 양쪽 문을 연다.
나레이션 : 승강장 스크린도어는 정위치 정차 시
1,2호선은 손잡이를 잡고 양쪽으로 열며,
3호선은 손잡이를 오른쪽으로 돌려 양쪽으로 엽니다.
자막 : 열차 내 화재 발생 시 스크린도어 수동개방 정상위치 정차 시
1, 2호선은 손잡이를 잡고 양쪽으로 개방
3호선은 손잡이를 오른쪽으로 돌려 양쪽으로 개방
나레이션 : 비정상위치 정차 시에는 스크린도어 출입문 양쪽 비상출입문에 붉은색 푸쉬바를 밀고 나와야 합니다.
자막 : 스크린도어 수동개방 비정상위치 정차 시
비정상위치 정차 시 붉은색 푸쉬바를 밀고 대피
나레이션 : 터널 중간에서 열차 화재로 정차한 경우에는 직원의 안내에 따라 운전실로 이동해,
운전실에 설치된 비상사다리를 이용해 선로로 내려가 가까운 역 쪽으로 대피를 합니다.
자막 : 열차 내 화재 발생 시 선로대피 전동차가 터널내 정차시 터널로 대피
열차 내 화재 발생 시 선로대피
① 운전실로 이동
② 비상사다리를 이용해 선로로 내려가 역으로 대피
나레이션 : 가까운 역에 도착하면, 승강장 끝부분의 비상출입문으로 대피를 하고 필요 시 선로에 설치된 이동식 피난계단을 통해 대피할 수 있습니다.
자막 : ③ 승강장 끝부분의 비상출입문으로 대피
필요시 선로에 설치된 이동식 피난계단을 통해 대피
나레이션 : 대피를 할 때는 승강장에 비치된 방독면과 물수건을 이용합니다.
자막 : 열차 내 화재 발생 시 대피 요령 방독면, 물수건 사용방법
나레이션 : 화재용 긴급대피마스크 보관함에 봉인줄을 제거한 뒤, 문을 열어 마스크를 꺼냅니다.
자막 : 열차 내 화재 발생 시 방독면, 물수건 사용방법
① 보관함의 봉인줄 제거 후 문을 열어 마스크를 꺼낸다.
나레이션 : 방습포장지를 화살표 방향으로 개봉해 마스크의 전면과 안쪽에 고정된 마개를 분리한 후, 마스크를 착용하고 대피합니다.
자막 : ② 방습포장지를 화살표 방향으로 개봉
③ 마스크의 전면과 안쪽에 고정된 마개 분리 후 착용
나레이션 : 또한 생수로 수건을 적셔 코와 입을 막고, 낮은 자세로 신속하게 대피합니다.
자막 : ④ 생수로 수건을 적셔 코와 입을 막고 낮은 자세로 신속히 대피
자막 : 역사 내 화재 발생 시
나레이션 : 역사 내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는 가장 먼저 소화전 비상벨 버튼을 눌러 모든 사람에게 알려야합니다.
자막 : 역사 내 화재 발생 시
① 소화전 비상벨 버튼을 눌러 모든 사람에게 전파
나레이션 : 그 다음, 비상전화기로 역무원에게 긴급 연락을 하고 소화전 내부에는 초기진압을 할 수 있는 소화기가 비치돼 있습니다.
자막 : ② 비상전화기를 통해 역무원에게 긴급연락
③ 소화전 내 소화기를 이용해 초기진압
자막 : <대피 요령>
① 열차내 화재발생시
- 터널내 정차 : 운전실을 통해 선로에 내려 인근역으로 대피.
- 역사정차 : 출입문 수동개방 후 계단 또는 승강장 끝쪽 비상출입문을 통해 터널로 대피.
② 역사내 화재발생시
- 대합실 : 가까운 계단을 통해 신속히 대피.
- 승강장 : 가까운 계단을 통해 대피 또는 승강장 끝쪽 비상출입문을 통해 터널로 대피.
자막 : 에스컬레이터 이용 방법
나레이션 :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때는 걷거나 뛰지 않고 제자리에 서서 손잡이를 잡고 두 줄로 서야 합니다.
만약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시에는 누구든지 비상정지버튼을 눌러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
자막 : 에스컬레이터 이용 방법
비상상황 발생 시 이용중인 사람들에게 비상정지를 알린 후 비상정지버튼을 눌러 정지
남 : 지금까지 보신 긴급상황 시 행동요령을 알아두시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도시철도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작은 관심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자막 : 박병수 부산교통공사 안전관리실장
지금까지 보신 긴급상황 시 행동요령을 알아두시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도시철도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작은 관심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레이션 : 하루의 시작과 끝을 함께하는 부산도시철도!
긴급상황 시 행동요령을 알아두면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 하루도 시민의 발이 되어 열심히 달린 부산도시철도!
내일의 새로운 꿈과 희망을 향해 더 힘차게 달려 나가겠습니다.
자막 :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부산도시철도가 되겠습니다.
부산교통공사 Busan Transportation Corporation
1호선 비상열림 장치손잡이 위치
2호선 비상열림 장치손잡이 위치
3호선 비상열림 장치손잡이 위치
4호선 비상열림 장치손잡이 위치
1호선 소화기 위치
2호선 소화기 위치
3호선 소화기 위치
4호선 소화기 위치
1호선 비상통화장치 위치
2호선 비상통화장치 위치
3호선 비상통화장치 위치
4호선 비상통화장치 위치
포장지 개봉
전면, 안쪽 마개 분리
마스크 착용
얼굴에 맞게 끈 조정